관리 메뉴

History

[정보처리기사 필기] 2021 2회 4단원 기출 요약 본문

정보처리기사/필기

[정보처리기사 필기] 2021 2회 4단원 기출 요약

luckybee 2023. 2. 14. 21:08
728x90
반응형

CSMA/CD 유선랜
CSMA/CA 무선랜 회피

결합도가 낮은 순서

데이터(자료)결합도-> 스탬프 결합도-> 제어 결합도 ->외부 결합도 ->공통 결합도 ->내용 결합도

은행원 알고리즘에 해당 되는 기법은 회피기법(Avoidance)이다.


일반적으로 페이지 교화이 많은 시간을 투자하게 되면 스레싱 현상이 발생한다. 스레싱 현상이란 
cpu성능이 급격히 떨어지는 것을 뜻한다.

가상기억장치 문제점 해결방안 -> 가상기억장치는 ram이 hdd나 ssd에서 같이 용량을 나눠서 쓰는 것이다. 

구역성관리: 프로그램이 어느 한 특정 부분만 집중적으로 참조하기 때문에 페이징의 성능이 좋아지는 현상
- 시간구역성, 공간 구역성, 순차 구역성

프리페이징: 과도한 페이지 부재를 줄이기 위해 모든 페이지를 한 번에 페이지 프레임에 적재하는 기법

프레임 워크는 뼈대이다. -> 재사용이 가능하다., 확장이 가능하다.

shell 변수를 출력할때는 echo를 사용한다. 

페이징 기법: 일정한 크기로 자르기 때문에 내부단편화가 발생한다.
세그먼트 기법: 크기에 따라 메모리 칸을 만들기 때문에 내부단편화가 발생하지 않는데 외부 단편화가 발생한다.

페이징 기법에서 페이지 크기가 작아지면 페이지 맵 테이블의 크기가 증가한다.

응집도 순서

우연적 Coincidental-> 논리적 Logical ->시간적 Temporal ->절차적 Procedural  ->통신적 Communication

->순차적 Sequential  ->기능적 Functional

기능적이 제일 높고 우연적이 제일 낮다

네트워크 계층에는 프레임 전송이 아니라 패킷 전송이다.


가상 기억장치

지역성(Locality): 프로세스가 실행되는 동안 주기억장치를 참조할 때 일부 페이지만 집중적으로 참조하는 성질
워킹 셋(working set): 프로세스가 일정 시간 동안 자주 참조하는 페이지들의 집합
스래싱(Thrashing): 프로세스의 처리시간보다 페이지 교체에 소요되는 시간이 더 많아지는 현상

udp는 오류를 체크하지 않고 냅다 보내는여서 속도가 빠르다. 그리고 신뢰성이 없다. 흐름제어 따위 없다.


로킹 단위가 큼 -> 로크의 수가 적어짐 -> 병행성 수준 낮아짐, 병행 제어 기법 간단해짐
로킹 단위가 작음 -> 로크의 수가 많아짐   =>무조건 나옴

병행제어를 하지 않으면

-갱신분실,비완료 의존성, 모순성, 연쇄복귀가 일어난다

관계 대수는 절차적 언어이다,

728x90
반응형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