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C
- mysql
- win32
- ListBox
- mfc 실습
- MyThread
- 유료강좌
- C언어
- visual
- 김성엽
- 핵심 요약
- Time
- linux
- 도움말
- 정처기 독학
- 미가공
- tips강좌
- do it c
- SSG
- MyTread
- 마이크로소프트
- MFC 예제
- 실습
- 정보처리기사
- 별찍기
- Tipsware
- 충무창업큐브
- 포트폴리오
- C++
- MFC
- Today
- Total
목록Time (4)
History

중복 없는 난수 생성하기 두 번째 방법이다. 아래 코드를 보자. #include #include #include int main() { int arr[10]; //난수가 저장될 배열 int count = 0; //난수가 확정된 숫자의 개수 int value, i; //반복문에서 사용할 변수 srand((unsigned int)time(NULL)); //난수 발생의 기준값 초기화 while (count

일반적으로 난수를 생성하려면 time.h 헤더와 stdlib.h 헤더를 include 해줘야 한다. #include #include //srand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#include //time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int main() { int arr[16] = {}; //16개의 값을 담을 수 있는 배열 생성 srand((unsigned int)time(NULL)); //난수를 발생시키기 위해 난수 세팅 for (int i = 0; i < 15; i++){ arr[i]=rand() % 20; //0~19의 난수가 배열안에 대입 } for (int i = 0; i < 15; i++){ printf("%d ", arr[i]); //출력 } } 위와 같이 평범하게 난수를 발생시키면 위와 같이 중복 값..
C언어로 현재 시간을 출력하고 싶으면 time.h 헤더를 include 해줘야 한다. 왜냐하면 _strtime_s 함수를 사용해야 현재 시간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. 코드는 아래와 같다. #include #include int main() { char time_str[16]; //현재시간을 받을 문자열 if(_strtime_s(time_str,16)==0) { printf("%s\n",time_str); //현재 시간 출력 } return 0; } 만약 시스템이 정해준 형식이 아니라 사용자가 몇년 몇 월 며칠 몇 시 몇 분 몇 초 이렇게 출력하고 싶으면 다른 방법이 있다. 구조체 struct tm과 localtime_s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. localtime_s 함수는 기준 시간 값을 time_t ..
#include gettimeofday 함수는 위에 있는 헤더 파일을 선언해줘야 사용할 수 있는 Linux에서 사용하는 c 헤더이다. 이 함수는 현재 시스템 시간을 마이크로 초까지 읽어주는 함수이다. gettimeofday의 첫 번째 인자인 tv는 현재 시스템 시간을 저장하기 위한 구조체 struct timeval { long tv_sec; // 초 long tv_usec; // 마이크로초 } tv_sec는 초 단위 값이 저장되어 있고 tv_usec는 마이크로 초 단위의 값이 저장되어 있다. 여기서 1000000 마이크로 초가 1초이고 1000 마이크로 초는 1밀리 초다. 두 번째 인자인 tz은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 없이 tz은 NULL을 사용하도록 한다. gettimeofday의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