관리 메뉴

History

리눅스 개요 본문

Linux/Linux 개념

리눅스 개요

luckybee 2023. 10. 20. 17:31
728x90
반응형

리눅스란?

 - 운영체제(OS: Operating System)

리눅스의 종류

- ubuntu, centos, Fedora 등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.

그럼 이것들은 전부 같은 리눅스일까?라고 맞다. 그러나 각각의 차이점이 존재한다.

공통점
1. 리눅스 커널을 사용한다.(Linux kernel)
2. GNU Software를 사용하고 있다. -> GNU는 소프트웨어 만드는 단체라고 생각하면 된다.

차이점
1. 데스크탑 관리자 (gnome, KDE)
2. 패키지 매니저 (apt, yum, rpm)
3. 기본 파일 시스템 등등

 

운영체제(OS: Operating System)

리눅스가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간략하게 운영체제에 대해서 글을 적겠다.

운영체제의 정의

 -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자원을 관리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.


하드웨어가 준비 되어있는 컴퓨터가 있다. 운영체제는 이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.
또한 운영체제 위에서 컴퓨터에서 사용할 앱들을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. 그래서 위와 같은 그림이 나오게 된 것이다. os는 앱을 관리하고 앱이 하드웨어와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.


그래서 os가 불안정하면 사용자는 앱을 사용할때도 잘 튕길 것이고, 블루스크린도 뜰 수 있다.


운영체제 주요 구성요소

- 커널(kernel) : 하드웨어와 앱을 관리할 수 있는 핵심적인 소프트웨어 -> 운영체제가 더 큰 범주이고 역할은 비슷하다
- 프로그램 실행과 멀티 테스킹 : 운영체제는 여러 가지 소프트웨어를 띄울 수 있는 역할을 한다.
-  인터럽트: 하드웨어가 동작하다가 어떠한 신호(ex: 랜포트가 접속되어서 데이터(packet)가 들어왔을 때)를 os에게 알려주는 행위 -> 하드웨어에서 os로 신호를 보낸다고 이해하면 된다.
-  메모리 관리:  컴퓨터를 구성하는 3요소는 CPU, RAM, SSD가 있다. 

 

SSD: OS가 저장되어있는 곳
RAM: SSD에서 저장된 OS를 Load 한다.
CPU: RAM에 적재되어있는 OS를 읽는다.

 

-  디바이스 드라이버 : 각각의 디바이스를 잘 동작시키기 위한 시스템 소프트웨어다. (장치 드라이버 포함) 
-  네트워킹: TCP/IP
-  사용자 인터페이스: UI
-  파일 시스템 :너무 방대해서 추후 따로 글을 적겠다.

728x90
반응형

'Linux > Linux 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unux] 기본 쉘 명령어 모음  (0) 2024.03.27
패키지 관리 시스템 (package management system)  (1) 2024.03.25
Comments